본문 바로가기
예방접종

[예방접종] BCG흉터가 도드라지는데, 재접종 필요할까?

by 101201171202 2025. 3. 31.
반응형

“BCG 흉터가 도드라지는데, 재접종 필요할까? 결핵 백신 흉터 궁금증 정리”

결핵 예방을 위해 신생아 시기 맞는 BCG(결핵) 백신은 주사 후 가끔 **흉터(반흔)**가 남곤 합니다.
어떤 아기는 흉터가 크게 도드라지기도 하고, 어떤 아기는 거의 흔적이 없기도 하지요.
“흉터가 작으면 혹시 예방효과가 부족해 재접종해야 하나?”, “도드라지면 뭔가 이상이 있는 건가?” 하는 궁금증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BCG 백신 흉터의 의미, 재접종 요부, 임상 지침을 살펴봅니다.

 

1. 왜 BCG 접종 후 흉터가 생길까?

(1) 결핵균(약독화)의 피부 반응

BCG 백신은 결핵균을 약화시킨 형태로 접종하며, 피내경피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접종 부위에 면역 반응이 일어나면서 피부가 궤양처럼 헐었다가 딱지가 생기고, 최종적으로 작은 흉터가 남는 경우가 많지요.

(2) 개인별 반응 차이

어떤 아기는 흉터가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미하게 치유되고, 어떤 아기는 1cm 이상 크기로 남기도 합니다.
이는 면역 반응의 개별 차이, 접종 부위접종 방식 차이 때문일 뿐, 효능이 좋고 나쁨을 단정하기는 어려워요.

 

2. 흉터가 없으면 재접종해야 하나?

(1) 흉터 = 면역 효과 증거?

예전에 “BCG 흉터가 커야 면역이 잘 생긴 것”이라는 통념이 있었지만, 현재 의학적으로 흉터 크기와 면역 정도는 직접 연관이 없다는 견해가 지배적입니다.

즉, 흉터가 작거나 없는 듯 보여도 항체는 충분히 형성돼 있을 가능성이 큼.

(2) 실제 임상 지침

WHO와 대부분 국가 보건당국은 BCG 재접종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특히 “흉터가 없으니 다시 접종해야 한다”는 식의 지침은 오래전 폐지된 경우가 많습니다.

흉터 유무만으로 “접종 실패”를 판단하지 않으며, 결핵 예방은 이미 첫 BCG 접종으로 주요 목적이 달성됩니다.

(3) 소수 예외 상황

만약 정말 접종 부위에 전혀 반응이 없고, 주사 실패(약물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음) 가능성이 의심된다면 소아청소년과에서 판단 후 재접종을 권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극히 드물고, 보통 접종 병원 기록에서 오류가 없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3. 흉터가 많이 도드라지는데 문제일까?

(1) 흉터가 크거나 붉은 자국이 남는 경우

일부 아기는 백신 반응이 커서, 1cm 이상 부풀거나 붉게 오랫동안 남을 수 있습니다.
대개 시간이 지나면 점차 흰 반흔 형태로 바뀌고, 건강상 문제가 되는 건 아닙니다.

(2) ‘상처’가 곪고 진물 나는 건?

접종 후 궤양처럼 곪고 진물(고름) 나는 과정은 일시적으로 흔한 반응.

다만 과도한 염증(고름이 심하고 오랫동안 안 가라앉는 등)이 지속되면 의사와 상담할 필요가 있어요.

 

4. 결론: 재접종 불필요, 흉터 크기와 면역은 직접적 상관 없다

  1. BCG 흉터가 있든 없든, 원칙적으로 재접종은 권장되지 않으며, 대부분 첫 접종으로 결핵 예방 면역이 형성됨.
  2. 흉터가 큰 아기도, 작은 아기도 효과 차이가 크게 달라지는 건 아니라는 것이 현재 의료계의 정설.
  3. 접종 후 흉터가 도드라지거나 아예 미미해도 걱정할 필요 없고, 만약 아예 반응이 없고 접종 실패가 의심되면 소아청소년과에서 확인 후 결정하면 됨.
  4. “나중에 결핵 피부반응검사(TST)”나 “IGRA 혈액검사” 등을 통해 면역 상태를 추가 체크할 수 있지만, 일상적으로는 권장되지 않음.

 

마무리 “BCG 흉터? 크든 작든, 대부분 상관없어요, 재접종 안 해도 충분!”

저도 아기 BCG 접종 후 “왜 흉터가 거의 안 보이지?” 걱정했는데, 병원에서 “이젠 흉터 크기가 면역 성패 의미하는 거 아니라 재접종도 안 한다”라고 하더군요.
주변에 흉터가 크게 남은 아기도 있고, 아예 눈에 안 띄는 아기도 있지만, 다들 추가 접종 없이 잘 지내니 안심하시길! 혹시 진짜 접종 부위에 아무 반응이 전혀 없었다면, 기록을 확인 후 소아청소년과에 문의해보면 됩니다.

 

 

반응형